...

부동산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가계소득 분석|근로·사업·재산소득 비중과 변화 추이 총정리

Wealth Curator 2025. 7. 3. 12:53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한국 가구의 소득은 근로소득이 64.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사업소득과 재산소득이 뒤를 이었습니다. 소득원별 비중 변화와 특징을 살펴봅니다.

 


💬 들어가며

“우리 집 소득, 어디서 나올까?”
단순히 월급만 중요한 시대는 지났습니다.
가구의 소득 구성은 이제 근로 외에도 사업, 재산, 공적이전소득 등 다양한 항목으로 구성되며, 노후 대비 전략까지 연결됩니다.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제시된 소득원별 구성 비율과 변화 흐름을 바탕으로 한국 가계의 수입 구조를 분석해보겠습니다.


📊 2023년 기준 가구 평균소득: 6,560만 원

소득 항목 구성 비율   전년 대비 변화
근로소득 64.7% ▼ 0.5%p
사업소득 17.1% ▲ 0.2%p
재산소득 6.2% ▲ 0.5%p
공적이전소득 11.9% ▲ 0.3%p
사적이전소득 0.1% 변동 없음

(*조사 시점 기준, 2023년 소득 자료 사용)

➡️ 근로소득 의존도는 여전히 가장 높지만, 재산소득과 공적이전소득의 비중이 소폭 상승한 것이 특징입니다.


💼 근로소득 의존도 높지만 소폭 감소

근로소득이 전체 소득의 64.7%를 차지하며 가계소득의 근간입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점진적으로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령화로 인한 은퇴 가구 증가
  • 자산 운용에 따른 재산소득 확대
  • 기초연금, 국민연금 등 공적이전소득 수혜 가구 증가

🏪 사업소득은?

  •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한국 특성상 여전히 **17.1%**의 비중
  • 코로나19 이후 회복세로 인해 소폭 증가

하지만, 소득 불균형이 큰 항목이므로 세부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 재산소득(이자, 배당, 임대소득 등)은 증가세

재산소득 항목 설명
이자소득 예·적금, 채권 이자
배당소득 주식·펀드 등 배당
임대소득 부동산 월세 등

✅ 재산소득 비중은 6.2%로 소폭 상승했으며, 특히 고령층에서 비중이 큽니다.

은퇴 후에도 수익이 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보여줍니다.


👵 공적이전소득도 확대 추세

  • 기초연금, 국민연금, 실업급여 등
  • 전체 소득의 11.9%
  •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비중이 3배 이상

➡️ 고령화 시대, 연금의 안정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통계입니다.


🔍 요약 정리

항목 핵심 내용
전체 평균소득 6,560만 원
주요 소득원 근로소득 (64.7%)
주목할 변화 재산소득·공적이전소득 소폭 증가
고령층 특성 근로↓, 재산·이전소득↑

📝 마무리하며

가계소득의 구성은 단순히 ‘얼마를 벌었나’가 아니라
어디서, 어떻게, 얼마나 지속 가능한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이제는 근로소득 외의 소득원도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한국 가계의 노후 준비 현황과 순자산 구조를 다뤄드릴게요.


🔗 관련 자료 보기 (출처: 통계청)

2024년+가계금융복지조사+결과.pdf
2.2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