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통호재

“수서광주선 진행상황 총정리|2025년 착공, 2030년 개통 목표”

Wealth Curator 2025. 6. 26. 20:36

수서광주선이 2025년 착공을 앞두고 있습니다. 예타 통과 이후 현재까지의 추진 상황과 향후 개통 시 기대되는 교통 효과를 정리했습니다. 광주시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도 함께 살펴보세요.


🚉 수서광주선, 2025년 착공 앞두고 있다!

예타 통과 후 현재 어디까지 왔나?

경기 광주시 최대 교통 호재로 꼽히는 수서~광주 복선전철(수서광주선) 사업이 본격 추진되고 있습니다.
2019년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이후 오랜 기간 지지부진하던 사업이,
2023년 국토교통부의 기본계획 고시를 계기로 가속화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 수서광주선이 어디까지 진행됐는지, 앞으로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정리해드립니다.


📌 수서광주선 개요

  • 노선명: 수서~광주 복선전철
  • 총연장: 약 19.4km
  • 총사업비: 약 1조 157억 원
  • 노선 연결: 서울 수서역 ~ 경기 광주역
  • 사업방식: 복선 전철, 도시철도 형태

[수서광주선역]

 


🗓️ 진행 일정 요약

예타 통과 2019년 7월
기본계획 고시 2023년 3월 (국토부 고시 제2023-102호)
실시설계 진행 중 2023~2025년 완료 예정
착공 예정 2025년
개통 목표 2030년 전후

🚇 수서광주선이 개통되면?

서울 접근성 대폭 개선
광주에서 수서까지 약 15분 내외 소요 예상
→ 기존 도로 교통 대비 시간 단축 효과 큼

GTX-A 환승 시너지
수서역은 GTX-A와 SRT가 지나는 주요 환승 거점
→ 삼성, 서울역 등 강남·도심권 접근성 극대화

광주시 중심권 가치 상승 기대
역세권을 중심으로 한 생활환경 개선, 교통 중심지화 기대
→ 부동산 시장 내 실거주·투자 수요 증가 가능성


📍현재 어디까지 왔을까?

2023년,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3-102호를 통해 기본계획이 확정됐습니다.
현재는 실시설계가 진행 중이며, 빠르면 2025년 착공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통상 공사 기간은 5~6년 정도 소요되므로, 2030년 전후 개통이 목표입니다.


✅ 국토교통부 공식 자료 확인하기

📎 국토교통부 고시 전문 PDF 보기
「수서~광주 복선전철 기본계획 고시 (제2023-102호)」클릭
→ 국토부 홈페이지 고시/공고에서 확인 가능

 


✍️ 마무리하며

수서광주선은 단순한 교통 편의 개선을 넘어,
광주시의 생활 인프라 변화, 주거지 평가 재편까지 불러올 수 있는 핵심 사업입니다.
현재는 착공을 앞둔 단계로, 관심 있는 지역의 변화를 미리 체크해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 특히 수도권 동남부 지역에 대한 중장기적인 접근성과 가치 상승이 예상되므로,
실거주자와 투자자 모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수서광주선 수혜지로 주목받는 모란역과 경기광주역 인근 아파트 단지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