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호재

인천발 KTX 개통 시기와 기대 효과 총정리

Wealth Curator 2025. 6. 13. 07:00

인천발 KTX는 수인선 송도역을 출발해 화성고속연결선에서 경부고속선과 합류할 예정인 KTX입니다. 2025년 기준, 전국 특별시, 광역시 중 유일하게 고속철도가 다니지 않는 인천광역시의 교통 취약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대산 노선입니다. 

🚄 1. 사업 개요 및 추진 현황

  • 사업명: 인천발 KTX 직결사업
  • 당초 사업기간: 2017.03.02 ~ 2025.06.21
  • 현재 예상 개통 시점: 2026년 말 (공정 지연으로 1년 이상 연기될 가능성 높음)
  • 총 사업비: 약 5,636억 원
  • 노선 개요: 수인선 송도역에서 경부선 또는 공항철도 연결을 위해 신규 노반 및 역사 개량 작업 포함

[인천발KTX노선]


✈️ 2. 인천공항 연결 추진

  • 인천시는 송도~인천역영종하늘도시~공항터미널을 잇는 인천발 KTX 공항연결선을 개발 중입니다.
  • 사업 규모: 총연장 약 16.6km, 2개 역사 포함, 사업비 약 1조 6,605억 원
  • 경제성이 충분하다는 자체 분석 결과까지 제시되었으며,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 반영을 위해 국토부에 건의 중입니다. 
  • 이재명 대통령의 21대 대선 인천 공약에도 포함됐으며, 국정과제 반영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 3. 시간 단축 효과

  • 공항 연결 시 주요 구간 소요시간 예상 단축 효과:
    • 부산 → 인천공항: 기존 212분 → 약 167분 (45분 단축)
    • 광주 → 인천공항: 171분 → 141분 (30분 단축)
    • 강릉 → 인천공항: 157분 → 134분 (23분 단축) 
      👉 지방 거주자의 해외 출입국이 훨씬 편리해져,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
      👉 외국인의 지방 접근성도 높아지면서, 지방 관광 활성화와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 예상.

🔧 4. 기술·설계 관련

  • 2023년 12월, 국토교통부는 실시계획 변경을 고시하며 설계 변경을 승인했습니다 
  • 철도공단은 궤도·신호·전철 전력설비 등의 실시 설계를 완료했으며, 관련 설계용역 예산서도 확보되어 있습니다

✅ 5. 기대 효과

  1. 인천·인천공항의 KTX 미 보유 문제를 해소
  2. 인천공항 접근성 향상으로 국제 경쟁력 강화
  3. 수도권 동서 연결망 확충 효과 (GTX-D/E 포함 연동 가능성)
  4. 경인선·수인선 연계 활성화 및 도시철도망 재편 기틀 마련

📌 요약 정리

항목 내용
투입 예산 총 5,636억 원 + 공항 연결 약 1조 6,605억 원
개통 예정 2026년 말 (연기 가능성 있음)
노선 송도역 → 경부선/공항철도 합류 (송도–초지–어천–영종/공항)
기대효과 소요시간 단축, 수송력 향상, 수도권 철도망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