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지역별 순자산 순위|서울과 세종, 왜 상위권일까? 자산·소득·부채 격차 분석

Wealth Curator 2025. 7. 3. 14:53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세종, 서울, 경기 지역 가구의 순자산이 가장 높았으며, 전남, 전북, 강원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시도별 자산·소득·부채 격차를 비교 분석합니다.

 


💬 들어가며

“같은 돈을 벌어도, 사는 곳에 따라 자산 차이가 큽니다.”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는 전국 17개 시도별로 순자산, 부채, 소득 수준을 공개했습니다.
그 결과, 서울·세종·경기는 자산 상위권을 차지했고, 전남·전북·강원은 하위권에 머물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역별 경제력 격차가 어떻게 나타났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가계금융복지조사+결과.pdf
2.22MB


📊 시도별 평균 순자산 TOP 5 (단위: 만 원)

순위 지역 평균 순자산
1위 세종 5억 2,690만 원
2위 서울 5억 2,072만 원
3위 경기 4억 8,664만 원
4위 대전 4억 5,986만 원
5위 울산 4억 5,358만 원

✅ 세종과 서울은 거주주택과 토지 가치가 높은 지역이며, 공무원·전문직 중심 인구 구성이 자산 평균을 끌어올린 것으로 보입니다.


📉 시도별 평균 순자산 하위 5

순위 지역  평균 순자산
13위 충남 3억 8,537만 원
14위 강원 3억 8,302만 원
15위 전북 3억 7,281만 원
16위 전남 3억 6,512만 원
17위 제주 3억 6,313만 원

⛔ 전남, 전북, 강원 지역은 부동산 자산 가치와 금융자산 보유 비율이 낮고, 고령 인구 비중이 높은 특성이 반영됐습니다.


💵 시도별 가구소득 수준 TOP 3

순위 지역 평균 가구소득
1위 서울 7,670만 원
2위 세종 7,270만 원
3위 울산 7,146만 원

➡️ 고소득과 고자산이 연동되는 구조를 보여주며, 서울과 세종은 고용 안정성도 높은 편입니다.


📉 시도별 가구소득 하위 3

순위  지역  평균 가구소득
15위 전남 5,630만 원
16위 강원 5,598만 원
17위 전북 5,542만 원

➡️ 제조업 중심이 아닌 농업·고령화 지역에서는 소득과 자산 모두 낮은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 지역별 부채는 어떤가?

지역 평균 금융부채 특징
세종 1억 2,150만 원 전국 최고 수준, 대출 비율 높음
경기 1억 1,202만 원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집중
전남 4,540만 원 전국 최저 수준

✅ 자산이 높을수록 부채 규모도 큰 경향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순자산은 유지되고 있습니다.
부채가 적은 지역은 고령화가 진행된 지방 중소도시가 많습니다.


🧭 인사이트: 지역 격차의 원인

  1. 부동산 자산 가치
    • 수도권과 세종의 부동산 가격이 자산 평균을 끌어올림
  2. 소득 수준과 고용 안정성
    • 대기업·공무원·전문직 비중이 높은 지역일수록 소득과 자산 동반 상승
  3. 금융 이해도 및 접근성
    • 대도시일수록 금융상품 보유율과 투자 다양성이 높음

🔍 요약 정리

구분 고자산 지역 저자산 지역
자산 세종, 서울, 경기 전남, 전북, 강원
소득 서울, 세종, 울산 전북, 강원, 전남
부채 세종, 경기 전남, 강원

📝 마무리하며

이번 통계는 한국 사회의 지역 격차가 단순한 생활비 차이보다 훨씬 깊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특히 소득·자산·부채가 연계된 경제력의 불균형은 장기적으로 지역 발전 전략과도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당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은 어디에 속해 있나요?
이 데이터를 참고하여 앞으로의 자산 전략을 지역 특성에 맞게 고민해보는 것도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 관련 자료 보기 (출처: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