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트렌드 리포트
김포 한강시네폴리스 일반산업단지, 개발 현황과 투자 포인트는?
Wealth Curator
2025. 6. 27. 12:27
김포 고촌에 조성 중인 ‘한강시네폴리스 일반산업단지’는 미디어·영상·ICT 산업과 주거·상업이 융합된 복합도시입니다. 2025년 기준 진행 현황과 교통 인프라, 향후 가치까지 정리했습니다.
📌 한강조망권과 수도권 서부 교통의 중심지 김포 고촌.
이곳에 조성 중인 **‘한강시네폴리스 일반산업단지’**는 미래형 자족도시를 목표로 추진되는 대형 복합개발사업입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최신 사업 현황을 중심으로
한강시네폴리스가 어떤 곳이며, 앞으로 어떤 가치가 기대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한강시네폴리스 산업단지 개요
📍 위치 |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향산리·걸포동 일대 |
📐 면적 | 약 112만㎡ (약 33.8만 평) |
🏢 사업 유형 | 일반산업단지 + 미디어·영상·주거 복합개발 |
💰 총사업비 | 약 1조 2,700억 원 이상 |
🏗 사업방식 | 민관합동 SPC 개발 (공공 20% / 민간 80%) |
📆 사업기간 | 2009년 승인 → 2026년 12월 준공 예정 |
🔗 출처:
🚧 2025년 현재 사업 진행 상황
- 2009년 일반산단 승인 이후 지연,
하지만 2021년부터 본격 착공하여 2025년 현재 공정률 약 30%대 진행 중입니다. - 2025년 6월 기준
산업시설 부지 정리 및 기반공사 진입 단계이며,
2026년 말 준공 → 2027년 이후 기업 입주 및 주거시설 가동 예정입니다. - KCC건설 주관, 복합개발 포함
일부 구역은 주상복합, 아파트, 상업시설 등도 포함돼 있으며,
오퍼스한강스위첸이 해당 주거용지 내에 들어설 예정입니다.
오퍼스한강스위첸분양총정리2025.06.27
🚇 교통 호재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선
- 노선 개요
현 종점인 서울 방화역에서 김포 풍무·한강신도시·한강시네폴리스를 거쳐 인천 검단신도시까지 약 25–26 km, 7–9개 역 신설 예정 - 사업 현황
- 2024년 8월부터 신속 예비타당성조사(신속 예타) 착수
- 2025년 6월 예타 발표 예정이었으나, 6월 초 발표 지연되어 결과는 다소 늦춰질 전망
- 개통 목표
2031년 개통이 목표로 설정되어 있음 - 기대 효과
김포·검단 지역은 그간 집값 정체 구간이었으나, 예타 통과만으로도 시장에 강한 신호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다수
✅ 인천 2호선 일산 연장(인천→김포)
- 노선 연장 계획
인천 2호선을 **경기 김포시(고촌·한강시네폴리스)**와 고양 일산까지 연결하는 연장 노선도 검토 중 - 사업 추진 상황
- 해당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예타) 절차가 지연되고 있으며,
- 내부 예상으론 2029년 착공, 2035년 개통 목표로 추진 중
- 다만 최근 2년 가까이 예타 자체가 답보 상태라는 지적도 있음
🛰️ 핵심 개발 방향
✅ 1. ICT & 미디어 융복합 클러스터
김포~상암~일산을 연결하는 수도권 서부 영상 산업 벨트의 중심지로 육성 예정.
✅ 2. 스마트 도시 기반 조성
사물인터넷(IoT), 저탄소 친환경, 자율주행 기반 도시 인프라 설계
✅ 3. 주거+산업+상업+문화 자족도시
입주기업과 근로자 수요를 자체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복합자족 도시 구조가 특징
🚄 교통 인프라 장점
✈ 김포공항 | 약 5분 (차량 기준) |
✈ 인천공항 | 약 30분 거리 |
🚗 서울 접근성 | 올림픽대로 / 한강로 이용 시 강서권 빠른 진입 가능 |
🚤 수상 운송 | 경인 아라뱃길 / 인천북항과 연계 |
🛣️ 광역도로망 | 수도권 제1, 제2순환고속도로 인접 |
💡 한 줄 정리
“김포 한강시네폴리스는 아직 완공되지 않았지만, 수도권 서부의 산업·주거 융합형 복합단지로 장기적인 가치가 주목됩니다.”
- 2025년 현재는 공사 중이며,
- 2026~2027년 이후에 실질적인 입주와 상권 형성이 예상됩니다.
- 단기적인 인프라는 부족할 수 있으나, 중장기적 성장 기대감은 큽니다.
- 지하철 개통이 확정되면 가치는 급상승 예상됩니다.